분류 전체보기179 1930년대 일본 금융위기: 침체와 군국주의로의 전환 1930년대 초, 일본은 세계 대공황의 직격탄을 맞으며 심각한 경제 침체에 빠졌다. 1929년 미국 뉴욕 증시의 붕괴로 촉발된 대공황은 세계 각국의 무역을 위축시켰고, 일본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그 피해가 더욱 컸다. 일본의 대표 수출품이었던 실크와 면직물의 수출 가격은 급락했고, 수출량도 동시에 줄어들면서 무역수지와 외환보유액에 큰 타격을 입었다. 그 결과 산업 전반의 생산이 급감하고, 기업들은 대규모 구조조정과 임금 삭감을 단행했으며, 실업률은 빠르게 상승했다. 도시 빈민층이 증가하고 농촌 지역에서는 빈곤과 파산이 속출하면서 경제 불안은 사회적 불만으로 번지기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초기에는 금본위제를 고수하며 긴축 재정을 시행했지만, 이는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켰다. 금본위제 복귀를 추진한 .. 2025. 7. 26. 1860년대 오스트레일리아 금광 열풍과 경제 붕괴 1850년대 중반부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대규모 금광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세계적인 ‘골드 러시(Gold Rush)’ 열풍이 시작되었다. 특히 뉴사우스웨일스와 빅토리아 주에서 금맥이 발견되자, 영국은 물론 미국, 중국, 유럽 각지에서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황금을 찾아 몰려들었다. 1860년대에 접어들면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전 세계 금 생산량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고, 멜버른과 시드니 같은 주요 도시들은 갑작스러운 인구 증가와 자본 유입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이 시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제는 농업 중심에서 광업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정부는 광산세와 수출세를 통해 막대한 세수를 확보했다. 금광의 발견은 단순한 자원 개발을 넘어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적, 경제적 독립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기존의 식민지 경.. 2025. 7. 25. 17세기 네덜란드 튤립 버블: 최초의 투기적 자산 붕괴 17세기 초, 네덜란드는 해상 무역과 금융업으로 번영을 구가하던 시기였다. 암스테르담은 유럽의 금융 중심지로 부상했고, 부유한 상인 계층은 자신의 부와 교양을 드러낼 수단을 찾고 있었다. 이 시기에 등장한 것이 바로 튤립이었다. 튤립은 원래 오스만 제국에서 유럽으로 들어온 식물이었는데, 그 이국적인 아름다움과 희귀성으로 인해 귀족과 상류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특히 희귀한 색상과 줄무늬를 지닌 품종, 예컨대 '세멀퍼 아우구스투스'나 '비스터 후이트' 같은 튤립은 단순한 꽃이 아닌 일종의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열풍은 단순한 원예 취향을 넘어서 자산 투자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점차 사람들은 튤립의 실물을 구매하는 대신, 그 구근(뿌리)의 소유권을 거래하는 계약서를 사고팔기 시작했.. 2025. 7. 23. 1738년 프랑스 린노트 연금 시스템의 장기 부채 실험 18세기 초반 프랑스는 루이 14세 시대의 끝없는 전쟁과 호화로운 궁정 생활로 인해 막대한 국가 부채를 떠안고 있었다. 이러한 재정 압박 속에서 프랑스 정부는 점차 새로운 형태의 자금 조달 방식을 모색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린노트 연금 시스템이었다. 1738년 재무장관 필리프 오를레앙 공의 재정 담당인 샤를 르노아르(Charles Le Noir)는 ‘린노트(linnote)’라는 이름의 장기 연금채권을 발행해 국가의 만성적인 재정난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감행했다. 이 채권은 일종의 종신 연금 형식을 취하면서도, 자발적으로 국가에 돈을 빌려준 이들에게 매년 일정한 수익을 제공하는 구조였다. 린노트는 본질적으로 국채의 형태를 지니면서도 민간 연금 상품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시스.. 2025. 7. 22. 1906년 톤틴 금지법: 사적 연금의 붕괴와 제도 변화 19세기 후반 미국과 유럽에서는 ‘톤틴(tontine)’ 방식의 사적 연금이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톤틴은 참가자들이 공동의 기금을 조성한 뒤, 정해진 기간이 지나고 나면 살아남은 참가자들에게 이자나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참가자가 많고 생존율이 낮을수록 남은 이들에게 돌아가는 수익이 커지는 구조였기 때문에, 이는 일종의 생존 기반 복권처럼 여겨졌고 당시 보험사들은 이를 상품화하여 대규모로 판매했다. 특히 1870년대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 미국 내 주요 생명보험사들은 톤틴 연금을 앞세워 고객을 대거 유치했고, 이는 생명보험업계를 폭발적으로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톤틴 연금 상품은 단순히 은퇴 대비를 위한 목적을 넘어 일종의 투자 수단으로도 인식되었다. 많은 가입자들이 .. 2025. 7. 21. 1937년 미국 경기 후퇴: 루스벨트의 긴축 실책 1930년대 초 미국은 대공황으로 인해 실업률이 25%에 육박하고, 수많은 은행과 기업들이 문을 닫으며 극심한 경기 침체를 겪고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3년부터 대규모 재정지출과 규제 개혁을 골자로 한 ‘뉴딜(New Deal)’ 정책을 시행했다. 연방정부는 공공사업 투자, 농산물 가격 안정, 금융 규제 강화, 노동권 확대 등을 통해 경제를 부양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집중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점진적인 회복 효과를 가져왔고, 산업 생산과 고용률은 1935년 이후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936년에는 대공황 이후 처음으로 국민 소득과 산업 생산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미국 경제가 안정 궤도에 접어드는 듯한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그.. 2025. 7. 20.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